본문 바로가기

정보

2016 전국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내 월평균소득 조회하기

반응형

여러 복지서비스들을 이용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이 소득인정액, 중위소득

전국 가구 월평균소득등이 있습니다

전국 가구 월평균소득은 lh공사에서 임대주택을

배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기도 하고

차상위나 기초생활수급자 선정에도 조건이됩니다

또,난임부부 수술지원비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2016 근로자 월평균소득

 3인가구이하

 4,816,665원

 4인가구

 5,393,154원

 5인가구

 5,475,403원


[2016년 전국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00%]




 

 소득120%이하

 소득 70%이하

 소득50%이하

 3인가구이하

 5,779,990

 3,371,600

 2,408,330

 4인가구

 6,471,780

 3,775,200

 2,696,570

 5인가구

 6,570,480

 3,832,780

 2,737,700


그런데 이것은 모두 세전입니다

과연 나의 소득이 전국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에

몇 %에 들어가는지 확인해보고 싶다면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 들어가

조회해보시면 됩니다.



국민건강홈페이지 메인화면에서

사이버민원센터를 클릭합니다




여러 민원 서비스들이 소개되어

있는데요 그 중 직장보험료 개인별조회를

클릭합니다. 개인정보이다 보니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셔야 해요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면

바로 직장보험료 개인별조회 창이

뜨는데요,.본인의 직장건강보험료의

산정보험료와 고지보험료

그리고 가입자부담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회하기를 클릭하여 나오는 창에

평균보수월액을 살펴보면 되는데요

월마다 금액이 약간 차이가 있을것입니다

그것을 1년치 더해 평균내셔도 되고

어림짐작 전국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에

어느 곳에 해당되는지 확인일 수 있습니다



몇 인가구이냐에 따라 

도시근로자의 월평균소득이

달라지죠 2인가구라면 외벌이로

걱정없는 금액이지만 식구들이 많다면 ㅠㅠ

그리고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아무래도 통계이다 보니

실질적으로 크게 다가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도시근로자 말고 

전국 가구 월평균소득이 어찌 되는지

궁금하시다면 국가통계포털을 이용해보세요



 도시근로자들의 월급이

투명하다 보니 평균을 내어 실질적이라

도시근로자 월평균을 좀 더 신뢰하는가봅니다

그러나 이것이 모든 가구의 월평균이라고

볼 수는 없겠지요.

국가통계포털에서 가구동향이라고

검색어를 넣어 검색해보시면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들을

과거 1990부터 2016년까지의 볼 수

있습니다. 1인가구로 시작되는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를

클릭하시면



년도뿐 아니라 분기별로

가구 소득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근로자가구와 근로자외 가구의 소득을

더해 전체가구의 월평균소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구원 숫자에 따라

월평균소득이 다르기에

가구원수별을 구분해야 합니다




4인을 선택하여 검색해보니


2016년 1분기에는 전체 가구의

소득이 작년에 비해 올랐네요.

이렇다면 2017년 전국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도

올라갈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