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중에 암검진은 몇세부터 받기 시작해서
몇세까지 받아야 하는 지 궁금할 거에요
암에 따라 검진받는 나잇대가 달라지는데요
암검진의 적정 연령대가 어떻게 되는 지 알아봅시다
암의 종류 |
검진대상과 연령 |
검진주기 |
일차적으로 권하는 검진방법 |
선택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검진방법 |
위암 |
40세~60세 |
2년 |
위내시경 |
위장조영촬영 |
간암 |
40세이상 b형,c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 |
6개월 |
간초음파+ 혈청알파태아단백검사 |
|
연령과 상관없이 간경화증으로 진단받은 자 |
||||
대장암 |
45~80세 |
1~2년 |
분변잠혈검사 |
대장내시경 |
자궁경부암 |
만 20세 이상 여성 |
3년 |
자궁경부세포검사 |
자궁경부세포검사+인유두종 바이러스검사 |
폐암 |
30갑년 이상 흡연력 55세~74세 고위험군(금연 15년 경과시 제외) |
1년 |
저선량 흉부 ct |
|
유방암 | 40세~69세 | 2년 | 유방촬영술 |
|
[보건복지부&국립암센터 7대암 검진권고안]
암검사를 시작하는 나이도 중요하지만
노년의 나이인 경우 더 이상 암검진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들이 있는데요
유방암인 경우 69세까지 70세 이상인 분들은
개인적으로 의사와 상담 후에 검진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검진 효과에 대한 효과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노년 암검진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분위기입니다
암검진은 조기진단이 중요하고 기대수명이 얼마남지 않은
노년층에 국가 차원의 무료암검진을 하고 있는데
정부의 고민이 바로 이 표에서 드러나고 있다고 하네요
누구나 늙는 법인데 살짝 서운해지는군요
대장암의 경우는 검사 시작나이를 45세로 뒤로 늦추고
종료시점로 5년 연장한 것으로 보아
앞으로 암검진에 대한 연령 조절이 계속 발생할 것 같습니다